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0

2024학년도 6월 모평, 역대 최대 재수생 19%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앞두고 6월 모의평가(모평)가 6월 1일 시행됩니다. 이번 6월 모평의 재수생 비율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는데요. 지난해 6월 모평 16.1%보다 2.9% p증가했습니다. 이과생이 문과생을 앞지른 것도 역대 최초입니다. 6월 모평 기준 과탐에 응시한 이과생들은 50.1%로 이과생이 문과생을 넘어서 지난해 6월 모평의 47.7%와 비교해도 2.4% p 증가해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는데요. 이렇게 재수생이 증가한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6월 모의평가 시행 6월 모의평가 언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진행하는 6월 모평은 6월 1일 오전 8시40분부터 전국 2107개 고등학교와 463개 지정학원에서 치러지는데요. 6월 모의평가 응시자 분석 올해 6월 모평 응시자는 46만 3,.. 2023. 5. 29.
인천 청년 자격증 응시료 지원 신청 방법 인천시는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을 격려하고, 경제적 부담을 덜어 주기 위해 자격증·어학 등 시험 응시료를 1인당 연 1회 최대 10만 원까지 지원하고 있는데요. 지원대상 시험 종류와 신청방법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들에게 자기계발과 역량강화를 돕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지원대상 신청일 현재 주민등록상 인천시에 거주 중인 만 18세~39세 청년(2023년 기준 1983. 1. 1. ~ 2004.12.31.출생자) 신청기간 : 2023. 3. 2.(목) ~ 11.30.(목) 응시일 : 2023. 1. 1.부터 실시한 시험 응시료 신청방법 인천시 홈페이지 인터넷 신청 시험 응시 후 증빙서류와 결제영수증 등을 첨부해 응시료를 신청하면 월별로 접수하고 검토한 후 다음 달 20일에 지급한다. 문의사항 .. 2023. 5. 26.
체력관리하고 문화상품권 5만원 받는 방법 새해에 지키지 못한 운동 계획, 여름이 점점 다가오면서 새로 목표를 다져보지만 실천이 쉽지 않습니다. 마음을 다잡고 찾아보지만 생각보다 비싼 헬스장과 필라테스 가격에 포기하진 않으셨나요? 스포츠 활동도 하면서 마일리지도 받을 수 있는 곳을 찾았습니다. 바로 국민체력100 스포츠활동 인센티브인데요. 문화상품권 5만 원을 받을 수 있는 방법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스포츠활동 인센티브란?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함께 주최하는 사업으로, 국민들의 체육활동 참여를 유도하고 건강과 체력 증진을 돕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국민체력100에서 지정한 체육시설(공공 스포츠클럽, 민간 체육시설)을 이용해 체력 관리를 하면 인센티브를 지급하고 리워드 상품(문화상품권)으로 교환할 수 있는 대국민 체력증진 서비스입니다.. 2023. 5. 25.
서울청년이라면 누구나 대중교통비 10만원 신청 방법 서울시 청년 대중교통비 지원사업은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만 19~24세 청년들의 경제적 부담 완화 및 이동권 보장을 위해 시행되는 것으로 연간 10만 원 한도의 교통마일리지를 지급하는 사업입니다. 서울청년 대중교통비 지원대상과 신청기간, 지원금액, 지급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업개요 지원대상 : 신청일 기준 주민등록·외국인등록·국내거소신고상 거주지가 서울시이며, 만 19세~24세(1998.1.1. ~ 2004.12.31.)인 청년 신청기간 : 2023.03.28.(화) 10시 ~ 2023. 5.31.(수) 17시 지원금액 : 등록된 교통카드 이용 금액의 20%, 연간 최대 10만원 대상 교통수단 : 버스, 지하철 지급시기 : 상, 하반기 2회 연간 최대 10만 원 지급 지급방법 : 사용 교통카.. 2023. 5. 24.
의대 가려고? 서울대 신입생 225명 휴학 올해 서울대 신입생 중 입학하자마자 휴학한 학생이 225명으로 전체의 6%에 이른다고 하는데요. 이 중 대다수는 의대. 치대 등을 가기 위해 반수를 하고자 휴학을 선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서울대에 입학한 최상위권 학생들마저 의대로 쏠리고 있음을 보여준다는 반응입니다. 신입생의 6.2% 225명 휴학 서울대가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서울대 신입생 3,606명 중 225명이 1학기에 휴학했다고 합니다. 신입생의 6.2%가 강의도 듣지 않고 휴학한 셈인데요. 2019년에 70명이던 신입 휴학생은 2020년 96명, 2021년 129명, 2022년 195명, 2023년 225명까지 늘어 4년 만에 3배가 됐습니다. 이공계 학과에서 신입 휴학생이 더 많다. 공대, 자연대 등 이공계.. 2023. 5. 23.